
9월 6일 2024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을 대비한 모의평가가 진행됩니다. 수능 전 자신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험입니다. 1.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6일 모의평가 지원자 9월 모의평가에 지원수험생 : 475,825명 (재학생은 371,448명 + 졸업생 등 수험생 104,377명) 올해 6월 모의평가 대비 12,150명 증가, 재학생은 3,927명 감소, 졸업생 등 수험생은 16,077명 증가 영역별 지원자 : 국어 영역 475,374명, 수학 영역 472,391명, 영어영역 475,198명, 한국사 영역 475,825명, 과학탐구 영역 251,653명, 사회탐구 영역 251,253명, 직업탐구 영역 6,818명,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27,398명 2. 2024학년..

집회에 참여하지 못했다. 아이들은 학교에 보내지 않았다. 그렇게라도 참여했다. 맞벌이하는 가정은 아이를 보내야 한다. 그 아이들은 누군가 보아야 하기에 그래서 학교로 나갔다. 회사를 다닐 때는 교사가 참 부러웠다. 욕하는 상사도 없고 방학도 있으니,, 그래서 대기업을 그만두고 수능준비와 교대 4년 총 5년을 10평되는 원룸에서 버텼다. 그렇게 아이들을 만나고 싶어 교사가 된 나는 2022년도에 한 학생과 학부형의 계속되는 민원에 그리고 교사에게 협조적이지 않은 관리자와 동료교사들의 폭탄 돌리기 같은 학폭 업무를 맡으며 정신과와 상담실을 오가며 교실에서 눈물이 쏟아져도 울면서 겨우 버텨내었다. 밤 11시가 넘은 시간 본인의 분노를 내게 쏟아부어 버리는 학부모를 보며 1학년은 신인류 인가 했다. 그리고 성선..
2. 부모 양육 태도와 스마트폰 의존의 관계에서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1) 부모 양육 태도와 우울, 스마트폰 의존 간의 관계 청소년기 부모 양육 태도는 청소년의 우울과 같은 심리적 문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Alloy et al., 2001). 우울은 우울한 기분, 체중이나 식욕 감소, 흥미의 상실, 침울하며 절망하는 등의 감정 상태를 특징으로 하는 정서경험을 뜻한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청소년기는 질풍노도의 시기로 감정의 기복이 심해지고 급격한 정서변화로 우울과 같은 심리 문제를 겪기 쉽다(오창순, 신선인, 장수미, 김수정, 2015). 청소년의 우울은 특히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 태도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다. 일례로, 권위 있고 민주적인..
부모 양육 태도와 스마트폰 의존청소년 부모 양육 태도와 스마트폰 의존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증가(한국정보화진흥원 2015)와 부작용의 증가로 인해 최근 들어 스마트폰 의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다양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스마트폰 의존에 대해 각기 다른 정의를 사용하고 있다. 박용민(2011)은 스마트폰 중독을 스마트폰을 과다하게 사용하여 자신을 통제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는 것이라고 정의하였고, 강희영과 박창호(2012)는 지나친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초조 불안과 같은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상태를 스마트폰 중독으로 정의하였다.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은 스마트폰의 과다한 사용으로 금단과 내성을 지니며, 나아가 일상생활장애가 유발되는 상태를 스마트폰 중독으로..
서론 인간의 평균 수명이 현대 사회에서 증가하면서, 많은 사람이 오래 살고 싶은 욕구를 갖게 되었습니다. 더욱 발전하는 과학과 기술은 의료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며, 인간의 수명을 연장하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알아보고, 과학과 기술이 인간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과학과 의료의 진보 1.1 질병 예방과 치료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많은 감염병이 예방할 수 있고, 효과적인 치료법이 개발되었습니다. 또한 약물과 치료법의 개선으로 만성 질환의 치료가 개선되고 있습니다. 1.2 유전자 연구 최근 유전자 연구의 진보로 인해 유전적인 질병의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유전자 치료법의 발전으로 유전적 질환의 치료..
현대 사회는 인공 지능, 로봇 기술, 빅데이터 등의 4차 산업혁명 기술들로 인해 이전과는 다른 시대로 접어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빠른 변화 속에서 우리는 여전히 공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해야 할까요? 이 글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공교육의 중요성과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공교육의 중요성과 그 이유 1. 미래 노동 시장의 요구 사항 4차 산업혁명은 노동 시장에 새로운 요구 사항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노동 분야들이 자동화와 인공 지능의 발전으로 더욱 효율적으로 이뤄지게 되면서, 미래에는 새로운 직업들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새로운 직업들에 대한 교육과 지식이 필요하며, 이는 공교육을 통해 제공될 수 있습니다. 2. 인구의 평등한 기회 제..